관상동맥질환, 동맥류, 허혈성심질환, 협심증의 식이요법
출처: 인슈넷
식이요법의 목적은 심장의 휴식이다. 손상된 심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식사를 조절하고 동맥경화의 식이요법에 준한다.
- 다량의 커피를 마시는 것은 심장박동에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카페인을 제거하고 커피 섭취를 하루 2잔 정도로 제한한다.
- 알코올 섭취도 혈중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한한다.
- 지방식을 금하고 커피, 자극성 음식을 금한다.
- 현미밥, 채식, 미역, 멸치 콩을 주식으로 한다.
- 마늘을 익혀서 하루 1통씩 복용한다.
- 과일, 야채주스를 상복한다.
- 포도씨, 밀기울, 펙틴 등의 겔이나 점액성의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한다.
- 포화지방, 콜레스테롤, 설탕, 동물성 단백질은 줄인다.
- 튀긴 음식과 알러지원이 되는 식품은 피한다.
- 특히 저혈당 환자의 경우는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고, 단당류인 설탕, 꿀, 말린 과일, 과일주스 등은 피한다.
- 좁쌀, 메밀, 보리, 깨, 호박씨, 들깨 등이 도움이 된다.
- 마늘, 레몬, 오렌지, 포도 생즙이 도움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