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혈병의 위험인자
출처: 인슈넷
- 유전적 소인
- 21번 염색체의 삼 염색체를 특징으로 하는 다운증후군
- 클라인펠터증후군, 파타우증후군, 판코니증후군, 블룸증후군, 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
- 쌍생아와 형제 등 급성 백혈병 환자 가족에서의 발병도 유전적 소인이 급성 백혈병의 병인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.
- 방사선 조사
- 원자폭탄이 투하되었던 지역에서의 급성 백혈병의 발생빈도가 10~15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.(일본 히로시마 원폭피해,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예)
- 강직성 척수염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조사를 받았던 환자들에서도 백혈병 발생률이 5배 가량 증가하였다.
- 화학약품과 그 밖의 직업성 노출
- 벤젠은 유전자 손상을 초래하여 백혈병으로 진전될 수 있다.
- 페인트, 방부제, 담배, 제초제, 살충제, 전자장 노출이 백혈병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- 항암제 등 치료약제
- 항암제, 특히 알킬화제들은 염색체 손상을 일으켜 이차성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. (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, 멜팔란, 부설판, 프로카바진, 에토포사이드, 독소루비신 등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