뇌혈관 질환의 식이요법
출처: 인슈넷
- 표준 체중의 유지
과식을 피하고, 영양의 균형을 좋게 하여 표준 체중에 준한 적정 체중을 유지한다. 쌀이나 당질류, 고 에너지인 지방류는 될 수 있는 대로 삼가야 한다. - 알코올 및 단백질의 섭취
소량의 알코올은 섭취할 수 있는데,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수면을 유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. 양질의 단백질을 적어도 체중 1kg당 1g정도는 섭취한다. - 식물성 유지의 사용
동물성 지방처럼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은 동맥경화를 일으키기 쉽다. 불포화지방이 많은 식물성 유지 사용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상승을 억제하고, 또HDL cholesterol의 값을 증가시킨다. - 혈액의 농축을 막음
불규칙한 식사와 운동이나 노동으로 땀을 흘리거나, 열이 높게 날 때, 식욕부진 등으로 수분이 결핍되면 혈액농축으로 뇌혈전이 유발되기 쉽다. 특히 뇌졸중 환자나 노인에게 이러한 주의가 필요하다. - 채소, 과일, 해조류의 섭취
채소, 과일 등에 함유된 칼륨은 혈압에 좋은 영향을 주고, 변비 예방도 되며, 또한 비타민의 보급에도 좋다. - 저염식 뇌졸중
저염식 뇌졸중은 식염을 6∼7g 정도로 줄임으로써 혈압을 내려야 한다. 조리는 싱겁게 하고 식초나 레몬으로 맛을 낸다. 고염식 저장 식품인 김치, 장아찌 등은 될 수 있으면 먹지 않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