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도에 좋은 음식
출처: 인슈넷
- 말린 도라지와 감초를 1 : 1의 비율로 끓여서 자주 마신다.
- 꿀과 모과를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신다. 꿀은 재생능력이 있고, 모과는 염증에 좋다.
- 마늘과 꿀을 푹 끓여서 마신다.
- 오미자차는 천식이나 기침에 좋고, 은행은 기관지를 강하게 하며 염증에는 쟈스민차가 좋다.
- 배를 반으로 잘라 숟가락으로 파내고, 거기에 꿀을 넣은 다음 전자레인지에 넣어서 중탕을 만들어 마신다.
- 맵쌀을 물에 불려서 씹어 먹는다. 목을 부드럽게 해서 목이 쉬었을 때 좋다.
- 살구씨 기름이나 매실 엑기스가 기관지에 좋다.
- 검은콩을 끓여서 즙을 낸 다음에 설탕을 넣고 얼음을 넣어서 먹는다. 목 쉬었을 때 좋다.
- 무 차는 소화를 촉진하고, 해열 작용으로 목 건조를 막는다.
- 연근차는 코 막힘, 기침, 목이 아플 때 해소감을 준다.
- 생강 칡차는 건위, 보온작용이 있고 해열의 효과가 있어 기침 예방에 좋다.
- 모과차는 목 건조를 해소시킨다.
- 유자차는 기침을 억제하고, 가래를 제거한다.
- 감꼭지차는 천식, 기관지염증을 해소하고, 기침에 매우 효과적이다.
- 당근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베타카로틴이 식도가 상하는 것을 예방한다.
[참고] 박하사탕은 후두를 직접 자극하고, 맥주 등 주류는 알코올이 성대 점막을 마르게 하며, 초콜릿, 버터, 우유 등은 성대를 건조하게 하기 때문에 좋지 않다. 또한 카페인은 위장과 식도를 조여주는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잘 역류하고 점액질을 많이 만들어 성대 주변에 가래를 만들 수 있고, 튀긴 음식은 역류성 식도염을 조장하기 때문에 역시 식도에 좋지 않은 음식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