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분석의 정의, 용도 및 종류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.
정의 : 요분석(urinalysis)이란 소변을 물리적, 화학적, 현미경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.
용도 : 소변을 형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성분들을 분석함으로써 신장, 간장, 혈관계, 췌장, 요관, 요도, 방광 등의 신체 여러 기관의 질환이나 병변을 진단할 수 있다.
종류
용어 | 정상치 | 임상적 의의 |
비중(specific gravity) | 1.010~0.030 | 소변을 농축하거나 희석시키는 신장의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, 정상보다 높으면 당뇨나 탈수를, 정상보다 낮으면 다뇨증(당뇨로 인한 경우는 제외)과 신우신염을 의미한다. |
수소 이온 농도(pH) | 4.8~8.0 | 소변의 산성, 알칼리성 여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알칼리 결과는 대사성 산중독, 저단백 식이, 채식주의, 탄산수소나트륨의 투여를 의미한다. |
단백질(protein) | Negative | 양성인 경우 신장혈관의 변화, 고혈압, 세뇨관 병변을 의미한다. |
당(glucose) | Negative | 소변 중 당을 검출하는 화학적 검사로 대부분 당뇨병을 가려내는데 사용되며 과식, 정서적인 긴장, 췌장의 병변에서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. |
케토산(ketone acid) | Negative | 소변 중 케톤체를 검출하는 화학적인 검사로 양성이면 몸이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이용한 것을 말하며 기아상태나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, 임신, 수유시, 구토와 설사를 동반한 감염시에 증가한다. |
잠혈(occult blood) | Negative | 정상뇨에서 적혈구는 검출되지 않으나 시야당 1~2개는 정상으로 본다. 혈뇨는 비뇨기계의 질병을 의미하며 신장, 요관, 방광, 요도의 손상이나 요관 결석에서 보이며 특히 원주체(cast)에 적혈구가 붙어나오면 사구체 신염, 신결석, 악성 종양 등을 의미한다. |
유로 빌리노젠 | Negative | 소변 중 담즙색소를 검출하는 검사로 담도 폐쇄시는 감소하고 간염 등의 간실질 손상과 용혈성 질환시 증가한다. 황달 회복기에도 상승한다. |
빌리루빈(bilirubin) | Negative | 소변 중 빌리루빈을 검출하는 검사로 간에서 담즙 배출에 장애가 있을 때, 간질환이나 황달이 있을 때에 증가한다. |
백혈구(WBC) | Negative | 정상뇨에서도 시야당 2~3개의 백혈구는 나올 수 있다. 비정상적인 백혈구의 출현은 요로에 염증이 있음을 의미하며, 여자인 경우 질 분비물의 혼합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. |
혼탁도(color turbidity) | 호박색, 노란색, | 감염이나 손상이 있는 경우 희뿌연 색이나 붉은색을 띈다. |
현미경적 소견 |
| 소변의 비정상적인 성분인 적혈구, 백혈구, casts 등의 수치가 높거나 낮은 절도를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검사방법이다. |